구글 블로그 사이트 맵, RSS, 네이버 다음 검색 등록하는 방법

블로그를 만들면 테스트용 블로그는 있어야 하겠더군요.

새로운 스킨을 적용할 때도 LAYOUT이 깨질 때가 있어

정상적인 블로그에 곧바로 올리는 것은 자제해야 합니다.


하지만 어느 정도 안정되고 괜찮다고 생각되면 제일 먼저 해야 하는 것이 있습니다.

그것은 각 검색엔진에 등록하는 겁니다.

블로그가 생성되고 글을 올렸다고 자동으로 노출되는 것은 아닙니다.

한국에서는 네이버, 다음에 등록해야 되죠.



네이버와 다음 포털에 검색 등록을 하면서

구글 블로그의 사이트맵과 RSS는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로 들어갑니다.



물론 네이버에 로그인을 해야 합니다.

웹마스터도구를 클릭합니다.



네이버 검색에 등록할 사이트를 입력하고 다음 단계로 넘어갑니다.



소유확인인데요, 티스토리를 네이버에 등록하는 것과 똑같습니다.

코드를 복사하고 구글 블로그로 갑니다.



구글 블로그는 여러 개의 블로그를 만들었을 때는

원하는 블로그를 선택하는 것도 꽤나 신경이 쓰이더군요.

아차 하는 순간에 엉뚱한 블로그에 위젯을 만들기도 했습니다.



html에서  <head></head>사이에 네이버 코드를 넣습니다.

소유확인 과정도 티스토리를 등록하는 과정과 같습니다.

HTML 편집을 찾는 경로가 스킨 편집이 아닌 테마에서 찾아야 하는 차이가 있죠.



앞선 HTML 코드를 복사한 화면에서 소유확인을 누르면 검색등록이 되었다는 완료 메시지가 나옵니다.

네이버 검색은 티스토리를 하면서 많은 설움을 당했죠.

네이버에서 타사 블로그 노출은 거의 찾아볼 수가 없습니다.

티스토리를 하면서는 아예 포기했었죠.



구글 블로그도 마찬가지로 네이버 검색 노출에는 쉽지 않겠지만

네이버의 점유율이 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는 정책에 조금은 변화가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도 해봅니다.



사이트 등록은 되었습니다.

계속해서 등록된 사이트 주소를 클릭해서 사이트맵, RSS 등록을 하겠습니다.



검색 통계를 볼 수 있는 화면입니다.

사이드 메뉴 중 요청에서 사이트맵, RSS 등록을 할 수 있습니다.



RSS는 등록 주소에서 feeds/posts/default?alt=rss 만 붙이면 됩니다.

지금 등록된 rss는 https://clevercyclone.blogspot.com/feeds/posts/default?alt=rss 이렇게 되죠.



사이트 맵은 티스토리 사이트맵처럼 주소 뒤에 sitemap.xml 을 붙이면 됩니다.

지금 티스토리도 이렇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티스토리는 제공하는 URL 개수에 제한이 있습니다.


이번에는 다음 검색 등록하는 방법입니다.



다음에 접속해서 맨 아래로 내리면 검색등록이 있습니다.



블로그로 등록을 합니다.

네이버나 다음이나 블로그 탭에 노출을 목표로 해야 합니다.

https://의 프로토콜도 http://으로 등록이 됩니다.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나머지는 안내에 따라 진행하면 다음에서의 등록은 간단하게 끝이 납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