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익에 심각한 영향을 주는 ads.txt 해결방법

애드센스 수익을 확인하면 반드시 뜨는 메시지 수익 손실 위험

- 수익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사이트에서 발견된 ads.txt 파일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해결하지 않으면 수익에 얼마나 영향을 줄까요?

열심히 포스팅하고 방문자를 끌어당겨서 클릭을 받아 이익을 얻었는데

이런 노력이 사라져버린다는 건가.

블로거라면 신경을 안 쓸 수가 없을 겁니다.



애드센스 설명에는 ads.txt 파일을 root 디렉터리에 넣으라고 합니다.

설명대로 사이트가 만들어져 있는 계정의사이트, 블로그의 최상단에 업로드합니다.

주소창에 https://볼로그주소/ads.txt를 넣었을 때 파일이 보여야 합니다.



어떤 포스팅은 티스토리 스킨 편집 메뉴를 통해 파일 업로드를 하면 된다는 글도 보았는데요,

이것은 애드센스 설명서와는 전혀 다른 이야기입니다.

파일 업로드 후에 주소창에서 확인 여부를 알아보면 되는데

뻘짓같아서 하지 않고 있습니다.


위에 넣은 ads.txt의 주소는 https://ttucca.cafe24.com/ads.txt입니다.

이 주소를 넣었을 때 파일이 보여야 합니다.

직접 확인해 보세요.


구글 블로그는 당연히 ads. txt를 넣을 수 있게 만들어져있지만

티스토리 블로그라면 해결할 방법은 없습니다.

도메인으로 티스토리를 연결했더라도 마찬가지죠.

티스토리에서 개별적으로 코드를 넣어주지 않는 이상으로 해결할 방법이 없습니다.


그리고 티스토리 블로거는 신경을 쓰지도 않습니다.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티스토리 블로그는 몽땅 다 그러니까요.


애드센스 Ads.txt 가이드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