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블로그 만들기는 스킨부터 잘 골라야 합니다.(구글 블로그 무료 템플릿 사이트)

티스토리 블로그가 카카오로 통합된다면

만약을 위해 다른 블로그가 필요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어

구글 블로그는 어떨까 하고 설치를 해 보았습니다.


블로그를 만든다고 이야기하지만,

실제로는 제대로 된 사용설명서만 있으면 쉽게 조작할 수 있습니다.

구글 블로그는 구글에서 사용 방법을 알려주고 있지만

모든 사용설명서가 그렇듯이 몇 번을 읽어봐도 무슨 말인지 알 수 없는 내용이  더 많습니다.


구글 블로그 만들기 동영상을 보고 템플릿(구글 블로그에서는 스킨을 이렇게 부릅니다.)을 적용해보니

동영상에서 보았던 인터페이스가 나오지 않는 겁니다.

완전 황당 그 자체였는데요,

첫 단추를 잘 끼워야 그 이후가 잘풀리는데  처음부터 막히면서 많은 시간을 허비하게 되었죠.

결론은 구글에서 제공하는 스킨에 문제가 있었던 거죠.



그래서 구글에서 제공하는 무료 스킨이 아닌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무료 스킨을 찾아보았습니다.

https://gooyaabitemplates.com/

https://www.templatesyard.com/

https://bloggertemplates20.com/

https://colorlib.com/wp/free-blogger-templates/ 워드프레스


무료 사이트에서 티스토리 스타일만 뽑아서 설치했고 그중에 5개를 추렸습니다.


구글 블로그 티스토리 타입 스킨 5개.zip


구글 블로그를 만드는 것은 크롬을 사용해서 구글 만들기를 검색하면 아주 쉽게 시작할 수 있습니다.

구글 계정도 있어야겠죠.



블로그를 생성하면 보이는 화면입니다.

좌측 메뉴에서 테마 / 오른쪽 맞춤 설정 옆 역삼각형을 누릅니다.

몇 가지 메뉴가 나오는데 여기서 복원을 클릭하고 준비한 스킨 파일을 업로드를 합니다.

다운받은 스킨 폴더에서. xml 파일 하나만 올리면 됩니다.

그리고 왼쪽 메뉴 밑에 블로그 보기를 하면 스킨이 적용된 자신만의 블로그를 볼 수 있습니다.



구글 블로그는 네이버 블로그 설정하는 것보다는 손이 많이 갑니다.

하지만 제로보드, 그누보드만큼은 세밀하게 적용할 수는 없네요.

그 정도의 난이도라고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티스토리에 비하면 많은 것이 불편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티스토리를 못 하게 된다면 구글 블로그가 대안이 될 수도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제로보드를 이용해서 블로그를 만들 수도 있지만

각종 파일이나 이미지를 보관할 수 있는 계정이 따로 필요한데

이 비용도 만만찮을 겁니다.

이런저런 생각을 하면 포털에서 지원하는 블로그가 보안이나 비용면에서도 훨씬 좋죠.


다음에는 템플릿이 적용된 화면에서 레이아웃을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