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거래소 비트맥스에서 사용하는 용어 정리
- 가상화폐
- 2020. 9. 11. 14:52
비트코인에 갑자기 바람이 불어 폭풍검색으로 알아보고 있습니다.
용어 자체가 무슨 말이지 조차 몰라 포스팅을 읽어봐도 이해하기가 힘드네요.
주식도 모르는 처지에서 처음 듣는 생소한 말이 너무 많습니다.
비트코인 거래를 위한 거래소 비트맥스에 관해 검색하다 자주 오르내리는 단어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파생상품
파생상품(derivatives)이란 기초자산의 가치 변동에 따라 가격이 결정되는 금융상품을 가리키며,
그 가치가 기초자산의 가치 변동으로부터 파생되어 결정되기 때문에 '파생상품'이란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따라서 기초자산에서 파생된 모든 금융상품을 파생상품이라고 할 수 있죠.
이렇게 이해하면 될까요.
가게에서 로또 번호를 임의로 만들어 손님에게 배부한 뒤 실제 로또 번호에 맞는 개수에 따라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손절은 손실을 보고 정리하고
익절은 이익을 보고 정리하는 것을 말합니다.
물타기는 하락하는 주식을 매수하는 것을 물타기라고 하고
불타기는 반대로 상승하는 주식을 따라서 매입하는 것을 불타기로 표현을 합니다.
포지션
포지션은 공매수 또는 공매도를 하는 행위 자체를 뜻하는 것 같습니다.
아래 답글에서 유추하시면 되겠습니다.
비트멕스 포지션을 여러 개 사두신다는 말씀은
예를 들어 7000롱 1계약, 7100롱 1계약 이런 포지션 분할을 이야기하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어떤 금융거래 플랫폼에서도 그렇게 살 순 없을 거예요 평균단가가 낮아지거나 높아지거나 할 테니까요.
매도 포지션(숏포지션, short position)은 가격이 올랐을 때 손실을 보고, 가격이 내릴 때 이익을 보는 상태를 뜻하고,
매수 포지션(롱포지션, long position)은 그 반대를 뜻합니다.
순포지션(net position)은 매수 포지션과 매도 포지션의 합이며,
총포지션(total position)은 매수 포지션과 매도 포지션의 절댓값의 합을 뜻합니다.
펀딩비
쉽게 설명해 드리면 포지션 간, 매도와 매수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존재합니다.
1시, 9시, 5시 8시간 간격이며 우세한 포지션에서 다른 쪽 포지션에 줘야 합니다.
펀딩 비율 : 양수 or 음수
양수인 경우 : 매수포지션 → 매도포지션
음수인 경우 : 매도포지션 → 매수포지션
상승장에서 매수포지션을 많이 잡으려고 하니 이때 매수가 매도측에 펀딩비를 줘야 하고
하락장에서 매도포지션을 많이 잡으려고 하니 이때 매도가 매수측에 펀딩비를 줘야 합니다.
교차마진은 자신이 가진 돈 전부를 담보로 거래하는 방식을 이야기하고
격리마진은 돈을 건 만큼만 부담하는 거래방식
레버리지
자신이 가진 비트코인의 100배까지 주문할 수 있습니다.
100배를 벌 수 있는 만큼 100배로 손해 볼 수 있는데
1%가 오르면 100배 수익, 하지만 1%가 손해나면 100배 손실로 그 순간에 청산 당할 수 있습니다.
마진콜
마진콜(강제청산)이란 내가 가진 잔액을 담보로 배율을 높인 부분에 대한 보증금 환수입니다.
거래소에서는 증거금(내 돈 100만 원인 경우)을 담보로 마진거래를 할 수 있게 하되
100만 원에 근접한 손실이 나는 지점을 거래소에서 정해 두고 투자자가 걸어둔 계약을 해지시킨 후
거래소에서는 수수료+손실금액을 보존하기 위해 가져가는 방식입니다.
100배로 할 경우 1%만 올라도 두 배의 수익이 발생하지만 1% 미만의 하락 시에도
강제청산(마진콜)을 당하게 되어 잔고가 줄 거나 0이 될 수도 있습니다.
앞으로도 차트보는 방법과
비트맥스에서 주문하는 방법을 포함한 홈페이지 활용방법도 필요하겠죠.
'가상화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트코인 투자 서두르면 망한다 (0) | 2020.09.16 |
---|---|
비트맥스 모의 투자 확신이 없을 때는 매매하지 마라 (0) | 2020.09.15 |
차트의 기본 양봉 음봉 보는 방법 (0) | 2020.09.14 |
비트맥스 첫 번째 모의 투자 수익은 얼마나 되나요 (0) | 2020.09.13 |
30억을 번 비트코인 거래 비트맥스 거래 방법 배우기 (0) | 2020.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