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설문지 만들고 응답 확인까지 받아봅니다
- 마케팅 창업
- 2020. 7. 8. 14:30
구글 설문지 만들고 관심 있는 방문자가 제출한 내용까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구글 설문지는 페이스북 광고에서 잠재형식과 가장 많이 이루어지는 설문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설문지 장점은 설문조사를 응한 방문자의 기본 연락처를 마케터가 이용할 수 있다는 겁니다.
페이스북 광고에서 랜딩 페이지로 넘어가는 광고에서 기본정보를 남기는 것은
관련 회사로 정보가 넘어가기 때문에
광고를 하는 마케터 입장에서는 개인정보를 전혀 알 수가 없죠.
이런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것이 얼마나 중요하냐 하면
반응을 보인 대상으로 개인적으로 광고를 할 수 있다는 거죠.
무작위 대상으로 광고를 하는 것보다는
특정 아이템에 반응을 보인 사람들을 대상으로 광고를 한다면
전환율은 훨씬 높을 겁니다.
구글 설문지(구글폰)를 만드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구글 로그인이 되어있어야 합니다.
구글에 가입을 해야 합니다.
구글에 가입하면 기본적으로 많은 것을 이용할 수가 있어 블로그나 마케팅을 한다면 가입을 권합니다.
오른쪽 상단 점 9개 / 드라이브를 클릭하면 왼쪽 화면이 나옵니다.
이미지가 작아 보기 힘들면 클릭하면 보기 편할 겁니다.
내 드라이브 / 더 보기 / Google 설문지를 선택합니다.
설문지를 만드는 첫 화면입니다.
현재 화면은 객관식 질문으로 어느 하나만 선택(라디오 버튼)하는 질문답지입니다.
두 개를 선택할 수가 없죠.
사이드바 설명입니다.
하나의 질문이 끝났으면 다음 질문을 추가를 눌러 또 다른 질문을 만듭니다.
이미지를 넣어보겠습니다.
질문 형태에서 파일 업로드를 선택합니다.
표시된 이미지를 찾는 아이콘은 커서를 올려야 보입니다.
객관식 질문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이번에는 단답형입니다.
오른쪽 아래를 보면 필수항목으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필수항목으로 선택하면 질문 옆에(*) 표시가 붙습니다.
질문 내용에 설명을 넣고 싶으면 설명을 클릭하고 내용을 적으면 됩니다.
설문지를 다 만들었으면 상단에 응답으로 넘어갑니다.
점 3개 더 보기를 눌러 응답 수집 장소 선택을 클릭.
새 스프레드시트 만들기 제목 없는 설문지(응답)를 선택하고 오른쪽 위 만들기를 누릅니다.
보내기를 눌러 작성된 설문지를 어떻게 사용할 건지를 정합니다.
파일 표시는 설문지가 만들어진 설문지의 주소가 표시되는데
주소가 상당히 길기 때문에 URL 단축 기능을 활용해서 간편하게 짧게 만듭니다.
그런데 자동 복사 기능을 사용하기 때문에 굳이 그렇게 하지 않아도 됩니다만,
긴 웹주소는 시각적으로 불편해 보이죠.
동그라미 표시는 iframe으로 페이지 속에 넣을 수 있습니다.
html을 사용할 수 있는 플랫폼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웹주소를 복사했으면 이 화면은 x자를 눌러 지워도 됩니다.
이 화면은 설문지 주소를 주소창에 넣고 띄운 내용으로 일부만 보여 드립니다.
작성자는 설문 내용을 작성하고 제출을 눌러 마치게 되죠.
이렇게 작성된 설문 내용은 어떻게 확인할 수 있는지 보겠습니다.
제일 처음 내 드라이브 화면에는 조금 전에 만든 설문지 내용과 응답을 받는 시트가 있습니다.
이름 바꾸기로 알기 쉬운 이름으로 바꿔도 됩니다.
설문지(응답)를 열어보겠습니다.
설문지에 답을 한 내용입니다.
제휴마케팅을 한다면 이렇게 접수된 소스는 빠른 시간에 광고회사로 등록하는 것이 좋습니다.
많은 마케터가 같은 광고를 하면서 잠재나 설문지 형태로 소스를 받기 때문에
설문지에 응답한 같은 사람이 여러 사람의 설문지에 답을 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습니다.
중복이 많은 것은 문화상품권 등 경품이 걸린 경우,
또 로또 광고는 중복이 엄청 심합니다.
응답지에 접수 시간이 적혀있지만 어떤 기준으로 전환으로 결정지을지는 모르니까요.
'마케팅 창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이버 폼 설문지 만들고 결과 확인까지, 좋습니다 (0) | 2020.07.26 |
---|---|
편의점 창업 과연 성공할 수 있을까요 (0) | 2020.07.12 |
공인중개사 창업 수입은 얼마나 될까요 (0) | 2020.06.27 |
문구점 과자 판매 매출은 어느 정도일까요 (0) | 2020.06.09 |
아이스크림 할인매장 창업 수익분석을 해봅니다 (0) | 2020.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