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종원 골목식당 거제도 암행 사찰, 현실은 참 어렵네요

이전 창업을 준비하면서 읽었던 책 중에서 백종원이 집필한 책이 읽었습니다.

새마을 식당 등 여러 가지 내용이 있었는데

많은 걸 느꼈습니다.

도움 된 만큼 가게 운영도 잘되었으면 좋았을 텐데...


음식 방송은 여러 가지 종류로 참 많습니다.

단순히 맛있는 것 찾아다니면서 맛있게 먹는 것에서 솜씨를 자랑하는 프로그램,

식당을 차려 손님을 받는 프로그램까지 있습니다.

먹는 것은 인간의 기본 욕구로 더 많은 인기를 얻게 되면

지금보다 더 세분된 프로그램이 나올 겁니다.



그 많은 요리사 중 대세는 백종원입니다.

백종원이 나오는 프로가 참 많은 것 같아요.

채널을 돌리다 보면 스트리트 푸드라든가 스튜디오에서 음식을 만드는 프로그램에서

돌리던 채널을 잠깐 멈추고 보곤 합니다.



스트리트 푸드를 보면 음식에서 사용된 재료와 소스 맛을 평가하는 것은

전문가 입장으로 별로 놀랄 것은 없는데요,

음식에 대한 역사를 아는 것이 신기했습니다. 그것도 외국 음식이잖아요,

신들의 이야기까지 어떻게 알 수 있었을까요? 작가 찬스일까요....


음식 프로그램의 시조라고 한다면 최불암 선생 한국인의 밥상이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전국을 돌면서 음식을 만들고 그 재료들을 준비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

최초(상당한 인기를 얻었던 프로그램으로)라고 생각합니다.


그 뒤로 여러 가지 종류의 프로그램이 나왔는데

음식이라는 것이 개인 취향이 상당히 많은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방송에서 맛있다고 하는 음식도 립서비스 차원으로 이야기할 수도 있고

비주얼이 별로 맛있을 것 같지 않은데도 게스트는 연신 맛있다를 거품 물고 이야기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음식 프로그램은 그다지 길게 보는 편은 아닙니다만,

이번 백종원 거제도 암행 사찰, 방송에서는 점검이라고 했죠.

기본이 사라졌다고 호되게 꾸지람을 하는 장면이 나왔습니다.

머리끄덩이 당길 수 있는 나이도 아닌 연배가 있으신 사장님에게

그 정도 톤이라면 야단쳤다고 해야겠죠.

백종원의 진심이 느껴지는 부분이었습니다.

백종원이 거제도 골목식당 거제도에서 가르쳤던 방송은 보지 않았지만,

정말 방송용이 아닌 식당이 잘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레시피를 전달하고 가르쳤을 것 같습니다.



다시 이전에 읽었던 책 내용을 떠올려 봅니다.

이 내용이 백종원의 책인지는 사실 분명하지 않습니다.

가게를 운영하며 조금이라도 많은 손님을 끌어당기기 위해 정성을 다합니다.

신선한 재료에 갓 지은 밥에 계란 후라이를 올려서 대접하죠.

맛있다 소문이 나면서 손님들이 몰리기 시작합니다.


손님을 받기 위해 준비하는 과정에 너무 많은 손이 들어갑니다.

그래서 손이 많이 가는 계란 후라이를 뺍니다.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죠.

그래도 손님은 모르는 것 같아 이번에는 반찬 종류를 한가지씩 줄이기 시작합니다.

그래도 손님들은 모르는 것 같았습니다.



그런 과정을 지나면 하나둘 종류가 줄어들면서 손님 수도 줄기 시작합니다.

그제야 주인은 아차 하고 느꼈습니다.

손님이 줄어도 이만저만 줄어드는 게 아니니까요.

식당 주인은 다시 반찬을 원상태로 돌리기 시작하죠.

하지만 손님은 다시 돌아오지 않습니다.


손님이 줄어든 것은 식당 주인은 모르고 있지만

처음 계란 후라이를 뺄 때부터 줄어들기 시작했고 손님은 느끼고 있다는 겁니다.

대충 내용은 이렇습니다.


책에서도 새마을 식당과 또 몇 가지 브랜드를 살리는 과정, 손님들을 끌어들이는 방법 등

성공하기까지의 내용에서 진심이 느껴졌는데요.

골목식당 거제도 점검편에서도 정말 잘되기를 바랐던 그 마음이 전해졌습니다.


슬픈 현실은

마케팅도 마찬가지고 식당 운영의 노하우도 마찬가지로 다 오픈했습니다.

부족한 것은 경험인데요,

이 모든 것을 다 주어도 운영 방법을 다 알려주어도,

모든 사람이 똑같이 성공할 수 있는 건 아니더군요.


똑같이 할 수 없거나 똑같이 하지 않는 것 그리고 똑같이 해도 안되는 것

이것이 팩트고 현실입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