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소녀상의 위치와 의미를 알아봅니다

아! 일제에 의해 침략당한 사실조차 부인하려는 건가.

수요집회를 진행해온 정의기억연대(정의연)의 잡음으로

수요집회의 공적이 무너지고 소녀상이 우상화로 변질하는 것 같아 안타깝습니다.


일본 방위상 집무실에 한국 지도가 놓여있습니다.

동북아 지도나 일본 지도가 아닌 왜 한국 지도만 있을까요.

아직도 일본은 한국을 일본 속국으로 만들려는 욕심을 가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지도 위에 군사적 표시가 아닌가 하는 알 수 없는 표시까지 있는 한국 지도를

의도적으로 노출해 간을 보고 있는데요.

한국을 못 잡아먹어서 안달 난 일본이 지켜보고 있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되겠습니다.



위안부 소녀상의 위치와 의미를 알아봅니다.

위안부 소녀상은 2011년 12월 14일 위안부 문제 해결을 촉구하는 1,000차 수요집회 때

전쟁의 아픔과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기억하고 평화를 기원하기 위해 새워졌습니다.

평화의 소녀상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의 모습을 형상화한 모습으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명예와 인권회복을 위해 만든 청동 조각상입니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명예와 인권회복을 위해 만든 조각상입니다.

1920~1940년대 소녀들의 일반적인 외모를 가진 단발머리 소녀로 의자 위에 손을 꼭 쥔 채 맨발로 앉아 있습니다.

꽉 쥔 손은 일본의 진실한 사과를 받아내겠다는 의미가 있으며 단발머리는 부모와 고향으로부터의 단절을 의미합니다.

발꿈치가 들린 맨발은 전쟁 후에도 정착하지 못한 피해자들의 방황을 상징하고 있습니다.


소녀의 왼쪽 어깨에는 앉아 있는 새의 모습이 조각되어 있는데 새는 세상을 떠난 피해자들과 현실을 이어주는 매개체를 나타냅니다.

소녀상이 있는 바닥에는 할머니 모습의 그림자를 별도로 새겨져 있는데 나비의 모습이 들어 있습니다.

일본의 진실한 사과를 받고 환생하는 의미입니다.


소녀상 옆에 놓인 빈 의자는 세상을 떠났거나 세상에 드러나지 않은

모든 피해자를 위한 자리이며 동참하는 관람객을 위한 자리이기도 합니다.

평화의 소녀상은 조각가인 김운성·김서경 부부가 한국 정신 대문제 대책협의회의 의뢰로 제작하였습니다.


평화 소녀상의 위치는 아래 지도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평화소녀상 위치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